본문 바로가기
맞춤형솔루션(PLC)

LS PLC 통신 추천!!-XBM-DN32H2( 내장 이더넷 활용 )-EFMTB와의 고속링크 통신 & XMC와의 XGT 통신 구현(동시 통신구현)

by 엘오토메이션 2024. 5. 23.

안녕하세요

엘오토입니다.

 

오늘 이시간에는 내장이더넷 통신의 파워풀한 통신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기존 블로그 자료 이력

엘오토의 Blog를 보면, 내장이더넷의 정체편에서 XGT의 CPU의 내장이더넷과 XGB(XBC) CPU의 내장이더넷에 대한 자료를 게시한적이 있으며, 해당 글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GB(XBC)의 내장이더넷은 Master(Client) 역활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XBM-DN32H2의 내장이더넷의 포트로 Master 2개가 되어, 1개는 XGT PLC인 XGL-EFMTB와 고속링크 통신을 하고, 1개는 XMC-E08A와 XGT 통신하는 내용입니다. 동시에 2가지 통신을 하는 형태이며,

관련된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Configuration

XMC-E08A 설정

 

XMC는 Server(Slave)로써, 값쓰기(XMC -> DN32H2)를 통해 %MW0에서 1234를 입력합니다.

 

XGL-EFMTB 설정

 

다음과 같이 EFMTB의 고속링크 프레임을 작성합니다.

고속링크는 국번을 통해 통신하는 구조입니다.

인덱스 0번을 보면, 수신입니다. 즉, 블록0번을 통해 전송받는 데이터를 EFMTB CPU의 D1(1개 워드)에 저장됩니다.

인덱스 1번을 보면, 송신입니다. 블록1번을 통해 EFMTB에서 DN32H2 내장이더넷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EFMTB CPU의 D2의 영역에서 값을 보냅니다.

 

XBM-DN32H2(내장이더넷) 설정

P2P-02번을 통해 DN32H2(내장이더넷)은 XMC와 XGT통신합니다.

DN32H2(내장이더넷)은 XGT 클라이언트가 되고, XMC-E08A는 서버가 됩니다.

 

XMC %MW0에서 1234 값을 쓰면, 상기 그림과 같이 DN32H2 CPU에서 D0에 1234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고속링크 설정입니다.

P2P-01번을 통해 고속링크 통신합니다.

인덱스0은 송신모드이며, 블록번호 0을 통해 DN32H2 CPU의 D1의 값을 EFMTB의 CPU의 값을 전송합니다.

인덱스1은 수신모드이며, 블록번호 1을 통해 EFMTB CPU에서 보낸값을 DN32H2 CPU의 D2의 값에 저장합니다.

 

고속링크 관련 Summary

고속링크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이 한번더 정리하여 이해를 돕겠습니다.

 

[XBM-DN32H2(내장이더넷) 설정]

DN32H2의 변수모니터창 모니터 화면

 

 

[XGL-EFMTB 설정]

 

* DN32H2의 D1에서 5678값을 입력하면, LS전용 고속링크(이더넷물리층)를 통해 EFMTB의 D1에 5678값이 전송됩니다.

  [DN32H2와 EFMTB의 인덱스 0번 참조]

* EFMTB의 D2에서 3456값을 입력하면, LS전용 고속링크(이더넷물리층)을 통해 DN32H2의 D2에 3456값이 전송됩니다.

  [DN32H2와 EFMTB의 인덱스 1번 참조]

 

오늘은 DN32H2(내장이더넷)을 활용한 동시에 2가지의 Master(Client)가 되는 통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XGT통신이나, LS전용 고속링크 통신은 물리층은 이더넷이며, LS제품간에만 가능한 통신입니다.

이점 참조하시고 유의하여 현업에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제품 구매나 Blog 관련 문의가 있으시면 댓글이나, 다음주소로 메일링 부탁 합니다.
jwleeh@lauto.kr 엘오토메이션 이진우
 
감사합니다.